
“젊은 고령층” 시대의 노동시장 변화 이야기
초고령화 시대와 그 속에서 새롭게 등장한 **“젊은 고령층”**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단순히 나이만 많아진 게 아니라, 건강하고, 학력도 높고, 일할 의지도 강한 새로운 세대의 고령층! 이들이 노동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있을까요?

👵🏻 고령화? 그런데 ‘젊은’ 고령층?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앞으로 인구는 줄어들고, 고령 인구는 급격히 늘어날 예정이에요. 그런데 요즘 고령층은 예전의 고령층과는 좀 달라요!
✅ 기대수명도 길어지고,
✅ 건강도 좋고,
✅ 고등교육 이수율도 높아요!
즉, 단순히 나이만 많지, 체력도 지식도 훌륭한 **“젊은 고령층”**이 등장한 거죠. 🙌


💼 고령층의 노동시장, 어떻게 달라지고 있을까?
1️⃣ 임금근로자 비중 증가
예전엔 자영업이 많았는데, 요즘 고령층은 직장에 다니는 경우가 더 많아요. 특히 화이트칼라(사무직, 전문직 등)로 일하는 비중도 증가!
2️⃣ 여성 고령층의 변화
여성 고령층의 변화가 더 눈에 띄어요. 예전보다 더 많이, 더 다양하게 일하고 있어요.



❗ 그런데 아직 문제는 많아요…
1️⃣ 조기퇴직이 많아요
정년까지 일하는 사람은 생각보다 적고, 대부분 정년 전에 퇴직해요. 퇴직 사유도 본인이 원해서라기보단, 계약 종료, 건강 문제, 회사의 권고사직 등이 많죠.
2️⃣ 재취업은 어렵고 하향취업이 많아요
다시 일하려 해도 일자리가 많지 않아서, 작은 사업장이나 예전과 관련 없는 일로 취업하는 경우가 많아요.
3️⃣ 정규직 고령자 채용, 기업도 망설여요
고령자는 숙련된 인력이지만, 기업 입장에선
✔️ 높은 임금,
✔️ 해고 어려움,
✔️ 법적 리스크 때문에
정규직으로 채용하길 꺼려요.
💡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단기적으로는?
✅ 임금체계를 유연하게 바꾸자
→ 나이에 따라 오르기만 하는 임금 말고, 일에 따라 유연하게!
✅ 고령 비정규직 보호 강화
→ 계약 종료 수당 같은 방식으로 시장 친화적인 보호 정책 필요
✔ 중장기적으로는?
✅ 정년 이후에도 계속 일할 수 있는 제도 마련
→ 일본처럼 ‘계속고용 의무화’ 같은 모델도 고려해볼 수 있어요.
✅ 청년과 고령 모두 함께 가는 노동시장 설계
→ 청년 일자리도 지켜가면서, 고령 인력도 잘 활용하는 방향!
📍 결론: 문제는 나이가 아니라,
‘일하는 방식’!
우리는 지금 단순한 고령화가 아니라, 일하는 방식의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어요.
“젊은 고령층”의 잠재력을 잘 살리려면, 더 유연한 노동시장, 더 다양한 일자리가 필요하겠죠?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고령화, 위기일까요? 기회일까요? 🤔
자세한 내용은⬇️
KDI-한국은행 공동심포지엄, 새로운 고령인구, 이에 대응하는 노동시장의 변화 2025.05.15 https://www.kdi.re.kr/share/conferPtView?sd_no=2345&pp=&year=&month=&sm_no=593
'워킹 Working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공부] 초고령사회의 빈곤과 노동: 정책 방향을 묻다 - Chapter4: “은퇴 후 가게 차리기 전에 꼭 알아야 할 3가지 현실” - 고령층 자영업자가 늘어나는 이유와 그 해결책은? (78) | 2025.05.21 |
|---|---|
| [공부] 일본 국채 금리 폭등!, 세계 시장은 지금 일본 주시중👀 (25) | 2025.05.20 |
| [공부] 미국 신용등급 강등! 내 투자 괜찮을까? 금리·환율·자산시장 영향 알아보기 (66) | 2025.05.19 |
| [공부] 초고령사회의 빈곤과 노동: 정책 방향을 묻다 - Chapter2: 집 한 채, 노후 생활비가 될 수 있을까? (22) | 2025.05.17 |
| [공부] 초고령사회의 빈곤과 노동: 정책 방향을 묻다 - Chapter1: 왜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이 OECD 1위일까? (9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