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워킹 Working/공부

[공부] 트럼프발 관세 폭풍: 역사 속 반복되는 보호무역, 그리고 요동치는 금융시장🔫

by RRii 2025. 4. 11.
반응형

Visual Capitalist

미국, 관세율 14.5%로 ‘역대급’ 인상…무역 전쟁 다시 불붙나?🔫

 

핵심만 쏙쏙!


✅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무려 **14.5%**까지 치솟았어요. 이건 1938년 이후 최고치라고 해요.
✅ 참고로 **2024년 평균 관세율은 2.5%**였으니, 정말 큰 변화죠.
✅ 이번 새 관세 정책으로 2025년 미국 수입이 30% 줄고, 연방 정부는 2,066억 달러(한화 약 280조 원)의 추가 세수가 생길 거란 전망도 나왔어요.



무역 정책,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중…😵‍💫


요즘 미국 무역 정책은 말 그대로 ‘롤러코스터’예요.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주 100개국에 고율 관세를 매긴 데 이어, 4월 9일엔 보복하지 않은 나라들에 대해 90일간 관세 유예를 발표했죠. 하지만! 수입품 전반에 적용되는 10%의 일괄 관세는 여전히 유지 중입니다.

한편, 중국과의 무역 전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어요.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125% 관세 부과
✅ 중국도 미국산 제품에 84% 관세

중국은 “끝까지 싸우겠다”는 강한 입장까지 밝히면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어요.


관세의 역사도 살펴볼까요?


사실 관세는 미국 역사 속에서 굉장히 중요한 세금이었어요. 19세기 후반엔 소득세가 없었기 때문에, 정부 재정과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관세가 주로 쓰였죠.

1890년 맥킨리 관세법 당시엔 평균 관세율이 무려 **29.6%**까지 올랐어요.
✅ 이후 1922년 포드니-맥컴버 관세법으로 15.2%까지 다시 오르며, 제조업과 농업을 보호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요.
1930년 대공황 시기엔 스무트-홀리 관세법이 통과되며 관세율이 19.8%로 더 높아졌죠. 당시엔 미국 일자리와 산업을 지키기 위한 고육지책이었습니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 이후 분위기가 바뀌었어요.

1947년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 그리고 1994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같은 다자간 무역 협정 덕분에 관세 장벽이 점점 사라졌고, 미국도 그 흐름에 맞췄어요.

그 결과 2024년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2.5%로 낮아졌고, 이는 유럽연합이나 중국 등 주요 경제권보다도 약간 낮은 수준이었답니다.


반응형

 

정리하자면!


미국의 관세 정책은 시대 상황에 따라 크게 출렁여 왔어요. 경제가 불안정할 땐 관세를 높여 자국 산업을 보호했고, 세계가 서로 손을 잡고 성장할 땐 관세를 낮추며 교역을 늘렸죠.

하지만 요즘처럼 관세가 다시 크게 오르고, 주요 국가와의 갈등이 깊어지면 글로벌 경제 전체에 충격이 클 수밖에 없겠죠. 앞으로 미국의 무역 정책이 어디로 향할지,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어요!

Visual Capitalist, TradingView

관세 갈등, 결국 주식시장까지 흔들다🫨


S&P 500 지수도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따라 ‘롤러코스터’🎢


요즘 미국 주식시장, 정말 ‘한 치 앞도 모를’ 상황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관세 부과 → 철회 → 다시 부과를 반복하면서 시장은 큰 변동성을 겪고 있어요.

이번에 나온 데이터를 보면, 2024년 10월부터 2025년 4월 9일까지 S&P 500 지수 흐름이 트럼프의 각종 관세 발표에 따라 요동쳤다는 게 확연히 보입니다.



상승 기대감에서 급락으로…📈📉


처음엔 트럼프 당선 이후 기업 친화적인 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크게 상승했어요. 하지만 취임 후 불과 세 달도 안 돼, 주가는 10% 이상 하락하며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죠.

2월 19일 기준 고점에서 21% 하락,
✅ **4월 7일에는 장중에 베어마켓(20% 이상 하락)**까지 진입했을 정도예요.

다만, 4월 9일 트럼프가 비보복 국가에 대해 90일 관세 유예를 발표하자 S&P 500은 하루 만에 9.5% 반등하며 시장이 다시 숨을 돌리는 모습도 보였어요.



시장의 공포: 주식도, 채권도 흔들렸다😰


S&P 500이 이렇게 요동치면서, 시장의 불안감을 보여주는 **변동성 지수(VIX)**도 최고 60까지 치솟았어요.

참고로 이 지수는 평소 12~22 사이에서 움직이는데, 60은 거의 금융위기급 공포 수준이에요.

더 놀라운 건 채권시장마저 흔들렸다는 점이에요.
보통 주식이 급락하면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 가격이 올라가고, 수익률은 내려가기 마련인데요—이번엔 반대였습니다.

4월 7일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3.86% → 4.5%까지 급등!
(이건 국채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는 의미예요.)

이런 상황에 대해 트럼프 측은 “주식시장을 보고 있는 게 아니라 국채 금리를 낮추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어요. 결국 이 금리 급등이 트럼프가 관세 유예 조치를 발표하게 된 배경 중 하나였을 수도 있겠죠.



마무리하며…🎯


트럼프발 관세 정책은 단순한 무역 이슈를 넘어서,
글로벌 주식시장과 채권시장까지 흔드는 메가 이슈가 되어버렸습니다.

앞으로도 트럼프가 어떤 메시지를 내놓느냐에 따라 시장이 크게 출렁일 수 있으니, 투자자 입장에선 뉴스 한 줄 한 줄에 더 민감해질 수밖에 없겠죠.



자세한 내용은⬇️
Visual Capitalist, The S&P 500’s Trump-Driven Tariff Turbulence 2025.04.10
Visual Capitalist, Chart: The Average U.S. Tariff Rate (1890-2025) 2025.04.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