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골프 그립 잡는 3가지 방법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게, 기본적인 3가지 그립 방법을 친근하게 설명해드릴게요!


✅ 오버래핑 그립 (Overlapping Grip)


가장 많이 쓰이는 그립이에요.
✔️ 오른손 새끼손가락을 왼손 검지와 중지 사이에 얹어요.
✔️ 손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힘이 너무 들어가지 않게 편안하게 잡는 게 포인트!
✔️ 손이 큰 사람이나 힘 조절이 좋은 사람에게 좋아요.


✅ 인터로킹 그립 (Interlocking Grip)


타이거 우즈도 사용하는 그립!
✔️ 오른손 새끼손가락과 왼손 검지를 서로 엇갈리게 끼워요.
✔️ 손이 작거나 클럽이 자꾸 빠질 것 같은 분들께 적합해요.
✔️ 견고하게 연결돼서 안정감 있는 스윙이 가능해요.


✅ 베이스볼 그립 (Ten-Finger Grip)


초보자들이 편하게 시작할 수 있는 그립이에요.
✔️ 양손을 야구 배트 잡듯이 나란히 붙여 잡아요.
✔️ 힘 전달이 쉬워서 비거리를 늘리기 좋고, 어린이/여성 골퍼에게 추천돼요.


✅ 그립 잡는 팁!


✔️ 손바닥이 아닌 손가락 위주로 잡는 느낌이 중요해요.
✔️ 클럽을 너무 꽉 잡지 말고, 새끼 고양이를 잡듯 부드럽게!
✔️ 왼손 엄지 위로 오른손이 살짝 덮이도록 맞춰주세요.
✔️ 양 손등이 정면을 보게 하면 스퀘어 그립이 돼요.



➕ 연습 팁


✔️ 집에서 수건이나 막대기 같은 걸로 연습해보면 그립 감각을 익히는 데 좋아요!
✔️ 거울 앞에서 내 손 위치와 각도를 자주 체크해보는 것도 꿀팁이에요.

반응형
반응형
@Visual Capitalist

어떻게 중국은 미국을 따라잡았을까?



– 글로벌 R&D 경쟁 이야기


전 세계 R&D(연구개발) 지출,
20년 만에 3배 성장!


지난 20여 년간 전 세계 R&D 지출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2000년 약 1조 달러였던 지출 규모는 2023년에는 2.75조 달러로 실질 기준 3배 가까이 성장했죠.

이 변화의 중심에는 바로 중국이 있습니다.
오랫동안 R&D 지출 1위를 지켜온 미국에 중국이 빠르게 추격하면서 혁신 격차를 거의 좁혔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R&D 약진, 수치로 보면?


✔️ 2000년: 전 세계 R&D의 단 **4%**만 차지했던 중국
✔️ 2023년: 무려 **26%**까지 상승 (6배 이상 증가
✔️ 증가율: 1,663% 폭발적 성장!

2023년 기준 R&D 지출 상위 두 나라는:
  🇨🇳 중국: 7,230억 달러
  🇺🇸 미국: 7,840억 달러
   → 두 나라의 차이는 단 610억 달러에 불과해요.




2023년 글로벌 R&D 판도


2023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R&D의 절반 이상을 미국과 중국이 지출했습니다. 이 두 나라를 제외하면, 나머지 국가들과는 격차가 꽤 큰 편이에요.

R&D의 중심, 아시아로 확실히 이동 중!


이제 R&D 하면 단순히 미국이나 유럽만 떠올리면 안 돼요. 아시아가 R&D 중심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거든요.

✔️ 2000년: 아시아가 전 세계 R&D의 25% 차지
✔️ 2023년: 무려 46%로 급등!

그중에서도 동아시아, 동남아, 오세아니아(SEAO) 지역이 강세예요. (중국, 일본, 한국, 인도네시아, 태국 포함)

그 밖에 지역별로 보면:
✔️ 북미(미국·캐나다): 29%
✔️ 유럽: 21%
✔️ 인도 포함 중앙·남아시아: 3%
✔️ 라틴아메리카: 3% → 2% (브라질은 2% → 1.3%)
✔️ 북아프리카·서아시아(이집트 등): 2% → 거의 4%로 성장!

특히 이집트는 R&D 투자 비중을 0.1%에서 0.6%로 6배 성장하면서 아프리카의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어요.


왜 이게 중요한가요?


R&D 투자는 국가의 장기적인 생산성, 기술 리더십, 그리고 안보에 직결되요.

중국은 AI, 반도체, 바이오테크, 재생에너지 등 미래를 좌우할 핵심 분야에 전략적으로 투자해왔어요.
이런 투자는 글로벌 파워의 판도까지 바꿀 수 있는 무기가 되죠.

한편, 일본, 독일, 유럽연합 같은 선진국들은 이 혁신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더 큰 압박을 받고 있어요.


📍마무리 하며


전 세계는 지금 “혁신 경쟁” 중이에요.
그 중심에는 R&D 투자가 있고, 그 판도는 빠르게 바뀌고 있죠.

앞으로 누가 더 똑똑하게 투자하고, 미래 기술을 선점하느냐가 국가 경쟁력, 경제 성장, 안보까지 좌우할지도 몰라요.



자세한 내용은⬇️
WIPO, End of Year Edition – Against All Odds, Global R&D Has Grown Close to USD 3 Trillion in 2023 2024.12.18


반응형
반응형

뉴럴링크, 인간의 한계를 넘다?



ALS 환자가 뇌로 편집한 영상과
그 뒤에 숨은 인권의 물음표


얼마 전, 유튜브에 올라온 한 영상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어요. 말을 할 수 없는 ALS(루게릭병) 환자가 ‘생각만으로’ 영상을 편집하고, 나레이션까지 한 영상이었거든요. 이게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바로 일론 머스크가 만든 ‘뉴럴링크(Neuralink)’ 뇌칩 덕분입니다.



생각으로 영상을 편집한 남자, 브래드 스미스

YouTube, @Bradford Smith

영상의 주인공은 브래드 스미스(Brad Smith).

그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뉴럴링크 뇌칩을 이식받은 사람이고, 말을 할 수 없는 ALS 환자예요.

ALS는 뇌와 척수의 운동신경세포가 점점 죽어가는 병인데, 시간이 지날수록 말, 걷기, 심지어 숨 쉬는 것까지 스스로 할 수 없게 돼요.

브래드는 뉴럴링크를 통해 뇌의 신호만으로 노트북 마우스를 움직이고 클릭하며 직접 영상을 편집했어요. 원래는 손을 움직이는 걸 상상했지만, 혀를 움직이거나 이를 꽉 무는 이미지를 떠올리는 게 더 정확하더래요.

심지어 그의 옛 목소리 녹음을 AI로 재현해서 나레이션까지 넣었답니다.



이제는 마리오 카트도 아들과 함께!


뇌로 마우스를 움직일 수 있다 보니, 아들과 함께 게임도 하고, 야외에서도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게 됐다고 해요.
예전엔 시선 추적 장비(eye-gaze)로 소통했는데, 그건 어두운 실내에서만 잘 작동했거든요.

브래드는 이렇게 말해요.

여기까지 오는데 수년이 걸렸어요. 아직도 눈물이 나요. 하지만 이 기술이 나 혼자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하면 너무 기쁩니다.”



그런데… 인권 문제는 없을까?


이 놀라운 기술을 보며 감탄하는 동시에, 한 가지 질문이 떠오릅니다.

“이 기술은 과연 완전히 안전하고 공정할까?”

실제로 뉴럴링크 같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에는 다양한 인권 이슈가 함께 따라붙어요.

✅ 생각조차 감시당하는 시대?


뉴럴링크는 뇌파를 읽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해요. 그런데 이 뇌파 자체가 가장 민감한 개인정보라는 거, 생각해 보셨나요? 혹시 이 데이터가 유출되거나, 기업이 마음대로 분석·활용한다면?
‘프라이버시 침해’라는 말로도 부족한 시대가 올 수 있어요.


✅ 누구나 선택할 수 있을까?


기술은 멋지지만, 비용은 어떨까요?
만약 이 뇌칩이 특정 부유층만 사용할 수 있다면, 의료 기술의 혜택도 계층을 나누게 될 거예요. 그리고 장애인이나 중증 환자가 이 기술을 선택하게 되는 상황이 진짜 ‘자발적’이었는지도 고민해봐야겠죠.


✅ 뇌 해킹 가능성?


이건 영화 얘기처럼 들리지만, 뇌에 연결된 장치라면 해킹 가능성도 존재해요. 단순히 정보 유출이 아니라, 사고나 감정, 행동까지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어요.


✅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


AI가 내 목소리를 만들고, 내가 뇌로 컴퓨터를 조작한다면… 우리는 점점 ‘사이보그’처럼 변해가는 걸까요?
이 기술이 발전할수록,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점점 더 깊어집니다.



📍마무리하며


뉴럴링크는 분명히 의료적으로, 기술적으로는 엄청난 혁신이에요.

특히 말을 못 하거나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사람에게는 삶의 질을 완전히 바꿔주는 희망이죠.

하지만 동시에, 우리는 이 기술이 가져올 사회적, 윤리적, 인권적 영향을 충분히 고민하고 대비해야 해요.
‘인류의 진보’가 ‘일부의 특권’이 되지 않도록 말이죠.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 기술, 미래를 밝히는 빛일까요, 아니면 우리가 아직 준비되지 않은 또 하나의 큰 질문일까요?



자세한 내용은⬇️
Yahoo, The first nonverbal patient to receive Elon Musk's Neuralink shares a video he edited and narrated using his brain chip 2025.05.06


반응형
반응형

워렌 버핏이 물러난다? 그의 후계자는 누구일까!



버크셔의 다음 챕터, 벌써부터 기대되지 않나요?


정말 역사적인 순간이에요.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워렌 버핏, 그가 드디어 은퇴를 선언했어요. 무려 94세까지 버크셔 해서웨이를 이끈 전설적인 투자자죠.

그가 만들어낸 수익률은? 자그마치 5,500,000%… 숫자만 봐도 입이 떡 벌어지죠?

그런데 이제, 그 자리를 물려받을 인물이 드디어 공식 발표됐습니다. 이름은 바로 그렉 아벨(Greg Abel)!



❓누구야, 그렉 아벨?


그렉 아벨은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 부문을 이끌던 사람인데요, 무려 25년 동안 버크셔 안에서 일해왔대요.
버핏이 은퇴하면 그렉 아벨이 CEO가 되고, 버핏은 의장으로만 남게 됩니다.

아벨은 현재 버크셔 해서웨이의 부회장이자, 에너지 부문 계열사인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의 회장이에요.

그렉 아벨은 캐나다 출신으로, 젊은 시절에는 하키도 하고, 회계학 전공으로 졸업한 후 PwC에서 경력을 시작했어요. 이후 CalEnergy라는 유틸리티 회사에서 일하다가 MidAmerican이라는 회사 인수와 함께 주요 인물로 떠올랐죠. 이 회사가 나중에 버크셔 해서웨이 에너지로 이름을 바꾸게 됩니다.

버핏은 그를 두고 “자랑스러운 알버타 출신”이라고도 하고, “회사를 잘 이끄는 진짜 훌륭한 리더”라고 칭찬했어요. 찰리 멍거도 그렉을 “배우는 기계”라고 했을 정도니까요.



❔후계자로 낙점된 건 언제?


사실 버핏은 2021년부터 이미 “내가 갑자기 사라지면 그렉이 맡게 될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어요.

그래서 이번 발표가 엄청나게 놀라운 소식은 아니지만, 그래도 ‘이제 진짜구나’ 하는 느낌은 있죠.



🆚버핏 vs 아벨, 경영 스타일은 다를까?


버핏은 워낙 조용하고 자율성을 중시하는 스타일이었잖아요? 근데 아벨은 스스로를 이렇게 표현해요:

조금 더 적극적인 스타일이에요.
물론 좋은 의미에서요!



버핏도 “내가 좀 느슨했다면, 그렉은 문제를 보면 바로 행동에 나선다”고 칭찬했어요. 버핏에 비해 아벨은 좀 더 적극적이고 손을 많이 대는 스타일이에요.

버핏이 특히 강조한 건 아벨이 “도덕적으로 올바른 판단”을 하고, 그런 행동을 하지 않는 경영진에 대해선 “직접 개입해서 조치한다”는 점이에요. 이는 버핏 본인이 상대적으로 관대한 편이었던 것과 대조적이죠.



💰투자 스타일도 바뀔까?


아벨은 버핏의 투자 철학을 이어간다고 밝혔어요. 주주들에게는 “우리가 가진 튼튼한 재무 구조는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고도 했고요. 즉, 은행 대출 없이도 대규모 투자를 할 수 있는 ‘재무 요새’는 유지된다는 얘기죠.

그리고 그도 버핏처럼 사업에 대한 호기심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해요. 각 계열사들과의 대화에서 질문하고, 비즈니스 구조를 파악하는 게 그의 스타일이라고 하네요.


🧑‍🤝‍🧑사람들의 반응은?


버크셔 이사들은 하나같이 “그렉은 준비돼 있다”고 말하고 있고요, 심지어 고(故) 찰리 멍거도 생전에 그렉을 이렇게 극찬했어요:

엄청난 학습 기계다.
워렌만큼 배우는 데 뛰어나다.



애플 CEO 팀 쿡도 응원의 메시지를 남겼어요.



📍마무리 하며


버핏은 최근 연례 보고서에서 이렇게 썼어요:

이제 얼마 지나지 않아, 그렉 아벨이 내 자리를 이어 CEO가 되고, 연례 주주서한도 직접 쓰게 될 거예요. 그는 버크셔 정신을 이해하고, 주주를 기만하지 않는 태도를 지니고 있어요.



정말 멋진 마무리죠.
전설은 떠나지만, 그 정신은 계속될 것 같아요.



자세한 내용은⬇️
CNN, Warren Buffett delivered more than a 5,000,000% return to investors. This guy is going to replace him 2025.05.05
Business Insider, It's official: Greg Abel will be Berkshire Hathaway's next CEO 2025.05.05

반응형
반응형

골프채, 남녀가 다르게 골라야 할까?
입문자를 위한 골프채 선택 가이드!



골프 시작할 때 가장 헷갈리는 게 바로 ‘어떤 클럽을 사야 하지?’ 이거죠.


특히 남성과 여성, 체형이나 스윙 스타일이 다르기 때문에 선택 기준도 달라질 수 있어요.

오늘은 골프 입문자분들을 위해!
남녀 차이, 공통 팁, 클럽 조합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남성과 여성, 골프채 선택 기준 차이


몸이 다르면 클럽도 달라야죠!
남성과 여성은 신체 조건과 스윙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클럽 선택 기준도 이렇게 달라요.


: 남자라고 꼭 남성용, 여자라고 꼭 여성용을 쓸 필요는 없어요. 자신의 체격과 스윙 스타일에 맞는 클럽이 최고입니다!



🏌🏻‍♀️골프채 선택 팁 (남녀 공통)


처음 골프를 시작할 때 꼭 기억해야 할 몇 가지 팁도 알려드릴게요!


✅ 드라이버는 관용성 높은 걸로 시작!

✔️ 헤드 크기 460cc, 중심이 낮은 모델이 초보자에게 좋아요.
✔️ 예시: TaylorMade Qi10 Max, Ping G430 Max


✅ 긴 아이언보단 하이브리드!

✔️ 4~5번 아이언은 어렵고 실수도 많기 때문에, 하이브리드로 대체 추천!
✔️ 예시: Callaway Paradym Ai Smoke Hybrid


✅ 아이언은 캐비티백으로!

✔️ 페이스 뒷부분이 움푹 파인 디자인은 관용성이 높고 실수 보완이 쉬워요
✔️ 예시: Mizuno JPX923 Hot Metal, Titleist T350

✅ 퍼터는 말렛형부터!

✔️ 퍼터도 종류가 다양한데, 초보자는 넓은 말렛형이 거리감 잡기 쉬워요
✔️ 예시: Odyssey White Hot OG, Ping Fetch



🏌️입문자용 골프채 조합 가이드


“처음부터 풀세트 다 사야 하나요?”
정답은 NO!

입문자에게는 필요한 클럽만 구성해서 연습하는 게 효율적이고 부담도 적어요.

✅ 추천 기본 구성 (7~8개 정도면 충분!)

✔️ 드라이버 – 1개
✔️ 하이브리드 – 1~2개
✔️ 아이언 – 6~9번 정도 (4, 5개)
✔️ 웨지 – 피칭 or 샌드웨지 1개
✔️ 퍼터 – 1개

이 정도만 있으면 연습장부터 필드까지 무난하게 커버 가능해요!



⛳️입문자용 추천 브랜드 & 세트



📍마무리 한마디!


골프채는 브랜드보다도 **‘나에게 맞느냐’**가 가장 중요해요.

처음 시작하는 단계라면, 너무 비싼 세트보다는 실용적인 구성으로 부담 없이 시작해 보세요! 그리고 나중에 실력이 올라가면 피팅받거나 고급 라인으로 바꾸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테이블코인, 미국 국채,
그리고 통화주권 이야기



— TBAC 보고서를 바탕으로 정리해 봤어요


요즘 디지털 자산이 핫하죠? 그중에서도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변동성이 적고, 실생활에서 쓰이기에도 꽤 실용적이라 점점 주목을 받고 있어요.

그런데 미국 재무부 자문 위원회(TBAC)에서도 이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꽤 진지하게 다뤘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TBAC의 2025년 2분기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스테이블코인의 금융시장 역할, 그리고 전 세계 통화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정리해 봤어요. 특히 TetherCircle 같은 주요 발행사의 움직임도 같이 소개할게요.



TBAC 보고서가 말하는
스테이블코인의 중요성


TBAC(미국 재무부 차입자문위원회)는 최근 보고서에서 이렇게 말했어요:

스테이블코인의 급성장은
미국 재무부 증권(Treasuries)에 대한
새로운 수요원이 되고 있다.



이게 무슨 뜻일까요?
스테이블코인은 보통 1달러 가치를 유지하려고, 그만큼의 자산을 예치하거든요. 이때 보유 자산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게 바로 **미국 국채(U.S. Treasuries)**예요. 이 말은 곧, 스테이블코인이 많아질수록 미국 국채를 사는 수요가 증가한다는 뜻이죠.

특히 TBAC는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을 미국 국채 시장에 긍정적인 유동성 공급자로 평가하고 있어요.

하지만 한편으로는 규제가 아직 부족하고, 리스크 관리도 미흡하다고 지적합니다. 즉, 잘하면 득이지만, 방치하면 위협이 될 수도 있다는 거죠.



Tether와 Circle,
미국 국채 얼마나 가지고 있을까?


자, 이제 실제 사례를 볼까요?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두 회사가 있어요:

@Investing.com

1️⃣ Tether (USDT)

✔️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 2024년 기준, 보유 자산 중 약 91%가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이 중 상당수가 미국 단기 국채에 투자됨
✔️ 2024년 1분기 기준, Tether는 약 86B(860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어요.
✔️ 이 중 미국 국채 보유량은 약 80B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Investing.com

2️⃣ Circle (USDC)

✔️ 미국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로 규제 친화적
✔️ 대부분의 준비금이 미국 국채 및 현금
✔️ Circle은 **BlackRock과 함께 ‘USD Coin Reserve Fund’**를 운영하며, 투명하게 국채 운용 내역을 공개함
✔️ Circle의 USDC는 미국 내 기관 투자자 및 기업이 선호

이 두 회사 덕분에 미국 재무부는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안정적인 채권 구매자를 확보하고 있는 셈이죠.



스테이블코인이
다른 나라 통화에 미치는 영향은?


이제 본격적인 국제 이슈로 넘어가 볼까요?

스테이블코인이 확산되면 어떤 일이 생기느냐?
달러 기반의 디지털 자산이 자국 통화를 대체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이런 상황이 가능해요:

✔️ 터키,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같은 나라에서 자국 통화가 불안정할 때, 사람들이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USDT, USDC 등)**을 더 신뢰하고 사용해요.
✔️ 실제로 P2P 거래나 해외 송금에서 USDT 사용률이 현지 통화보다 높아지는 현상도 나타났습니다.
✔️ 이런 흐름은 자국 통화의 통화주권 약화로 이어질 수 있어요.

TBAC도 이에 대해 경고합니다:

스테이블코인의 글로벌 확산은 미국 외 국가들의 통화정책 자율성을 제한할 수 있다.



이건 무슨 뜻이냐면,
예를 들어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이 금리를 아무리 조정해도, 사람들이 실질적으로 쓰는 ‘돈’이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면 통화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거예요.



마무리하며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디지털 돈이 아니에요.

글로벌 금융시장에 구조적인 영향을 주는 새로운 플레이어가 되고 있어요. 특히 미국 입장에선 국채 수요를 떠받쳐주는 좋은 수단이지만, 다른 나라 입장에서는 자국 통화의 힘을 약화시키는 위협 요소가 될 수도 있다는 점, 꼭 기억해야 해요.

앞으로 이 시장이 어떻게 규제되고, 어떻게 발전할지 주의 깊게 지켜봐야겠죠?



자세한 내용은⬇️
TBAC Presentation, Digital Money 2025.04.30
https://home.treasury.gov/system/files/221/TBACCharge2Q22025.pdf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