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진짜 혜자일까? 적자 현실은?
요즘 서울 시민들 사이에서 가장 핫한 교통 아이템 중 하나! 바로 기후동행카드입니다.
월 6만5천 원이면 버스, 지하철, 따릉이까지 무제한 이용 가능! 출퇴근러부터 나들이족까지, 교통비 아끼고 싶다면 누구나 한 번쯤은 눈독 들였을 텐데요.
그런데 말입니다…
이 혜자같은 카드, 알고 보면 서울시가 엄청난 손실을 감수하면서 운영 중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1분기 손실만 523억 원?!
서울시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기후동행카드로 올해 1~3월 동안 발생한 손실이 무려 523억 원에 달했습니다. 같은 기간 경기도의 ‘The 경기패스’는 55억 원, 인천의 ‘i-패스’는 10억 원 정도였는데요. 이용자 수는 오히려 경기 쪽이 더 많았음에도 서울 쪽 손실이 훨씬 큰 것이죠.
💳 운영 방식의 차이 때문!
✅ 서울 기후동행카드
✔️ 월 6만5천 원에 무제한 사용
✔️ 정부 지원 없이 서울시와 교통기관이 전액 부담
✔️ 구조상 손실이 누적될 수밖에 없음
✅ 경기·인천 K패스 연계형
✔️ 이용자가 일정 횟수(15회 이상) 이상 사용 시 일부 비용을 정부가 환급
✔️ 60회 초과 사용부터 지자체 부담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분담 운영
서울시는 “무제한 정액권이 교통복지와 탄소 저감에 더 효과적”이라고 강조하지만, 단독 운영의 부담이 적지 않은 상황입니다.
🌍 해외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
서울처럼 혼자 감당하는 곳은 거의 없다!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와 비슷한 정책이 해외에도 있어요. 하지만 대부분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협력해 재원을 분담하거나, 구조적으로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설계가 특징이에요.
🇩🇪 독일 – 49유로 티켓 (Deutschlandticket)
✔️ 월 **49유로(약 7만 원)**에 독일 전역의 지역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 고속열차(ICE, IC)는 제외
✔️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예산을 공동 부담
✔️ 기후 대응 + 물가 안정 목적의 전국 단위 교통 복지정책
✔️ 시행 이후 대중교통 이용률 증가, 탄소 감축 효과 기대
👉 서울과 거의 동일한 가격대지만, 정부 예산이 뒷받침되고 있어 재정 부담이 덜함.
🇦🇹 오스트리아 – Klimaticket (클라이마트켓)
✔️ 연 1,095유로 (하루 약 3유로)
✔️ 오스트리아 전국 모든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 중앙정부가 주도하고, 주정부와 협업하여 재정 부담 분산
✔️ ‘기후 티켓’이라는 이름처럼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정책 중 하나
👉 이용자는 적정 가격에 자유롭게 이동하고, 정부는 체계적 분담으로 안정적 운영.
🇱🇺 룩셈부르크 – 전국 대중교통 완전 무료
✔️ 2020년부터 전국 모든 대중교통 완전 무료화
✔️ 시민뿐만 아니라 관광객도 무료 이용
✔️ 정부가 100% 예산을 투입
✔️ 작은 국토와 인구 덕분에 가능했던 실험적 정책
✔️ 자동차 이용 억제, 기후 대응, 교통혼잡 해소가 목적
👉 현실적으로 서울처럼 큰 도시에는 적용 어렵지만, 공공교통의 공공성을 극대화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어요.
🇫🇷 프랑스 – 도시별 맞춤형 무료 교통
✅ 덩케르크(Dunkerque)
✔️ 2018년부터 버스 전면 무료
✔️ 승객 수 60% 증가, 상권 활성화 효과까지
✅ 파리(Paris)
✔️ 청소년, 노인, 학생 대상 교통비 지원 또는 무료패스 제공
✔️ 친환경 도시 정책과 보행자 중심 도심 계획과 병행
👉 프랑스는 국가 단위보단 도시별 맞춤형 교통 복지를 시행하는 방식.
서울도 이런 방식과 비교해볼 수 있겠죠?
📍 결론!
서울시, 정말 잘하고 있어요.
취지도 좋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복지’로 자리 잡고 있는 것도 분명해요. 하지만 정부와의 협력 없는 단독 운영은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 독일, 오스트리아처럼 정부-지자체가 역할을 나누고
👉 프랑스처럼 지역 특성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한다면
서울의 기후동행카드도 더 오래, 더 건강하게 이어질 수 있을 거예요.
💬 마무리 한 줄 정리!
좋은 정책도,
오래 가려면 뒷받침이 필요합니다.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 지금이 ‘지속 가능한 진화’를 고민할 시점이에요.
자세한 내용은⬇️
동아일보, [단독]서울시 무제한 교통패스 1분기만 523억 손실… 경기의 9배 2025.05.26 https://naver.me/5sGiHZv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