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워킹 Working/공부

[공부] 관세보다 더 큰 판을 짜고 있다? 트럼프의 ‘달러 약세’💸💸

by RRii 2025. 4. 14.
반응형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촉발한 관세전쟁으로 인해 세계 경제가 요동치고 있다. 뉴욕, 도쿄, 한국 등 주요 도시 증권시장은 매일 롤러코스터를 탄 것처럼 극심한 변동성을 보인다. 시장 참여자들은 골머리를 앓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정책을 포기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그의 최종 목적지가 달러화 가치를 떨어트리는 것에 맞춰져 있다고 판단한다. 무역 및 재정적자를 해결할 수 있다고 트럼프 경제팀이 추론하는 이른바 ‘마러라고 합의’다. [백악관·AP·로이터]

“달러, 왜 갑자기 약해졌을까?” – 트럼프가 꺼내든 ‘마러라고 합의’ 이야기


요즘 뉴스나 환율 차트를 보다 보면, “달러가 생각보다 약하네?”라는 생각이 들 거야. 원래 세계 경제에 불확실성이 커지면 사람들은 안전자산인 달러를 찾아 몰려가는 게 보통인데, 요즘은 상황이 좀 달라.

최근엔 미국이 관세를 여기저기 막 때리면서 전 세계 무역이 뒤숭숭해졌는데, 오히려 달러 가치는 떨어지고 있어.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안전자산인데, 왜 약세일까?


달러는 흔히 ‘가장 안전한 자산’이라고 불려. 그래서 전쟁이 터지거나 경제에 불안감이 퍼지면 달러에 돈이 몰리는 게 일반적인 흐름이야.

근데 최근엔 미국이 무역전쟁을 시작하고 관세를 막 때리면서, 투자자들 사이에 “과연 미국이 여전히 안전한가?” 하는 의심이 생기기 시작한 거야.
이게 바로 달러가 약해지는 첫 번째 이유.



트럼프의 속내는 ‘달러 약세’일지도?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달러가 너무 강한 걸 좋게 보지 않아. 왜냐하면 달러가 강하면 미국 제품 가격이 비싸져서 수출이 어렵고, 결국 무역적자가 더 커지게 되거든.

그래서 일부에서는 트럼프가 일부러 달러를 약하게 만들려는 게 아니냐는 말까지 나와.
이쯤 되면 “그럼 미국은 이제 어떻게 하려는 거지?” 하는 의문이 생기겠지?



마러라고 합의’가 뭐야?


이쯤에서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마러라고 합의(Mar-a-Lago Accord)’**야. 들어보면 뭔가 비밀스러운 작전 같지? 실제로도 공식 발표는 없고, 트럼프 진영의 경제참모가 제안한 비공식 시나리오야.

핵심은 간단해:
✔️달러를 일부러 약하게 만든다.
✔️외국이 갖고 있는 미국 국채를 100년짜리 초장기채로 바꾸자고 한다. (이자도 안 준다!)
✔️미국은 이 과정에서 자금 조달 부담을 줄이고, 수출 경쟁력은 키운다.

이게 바로 트럼프의 ‘빅픽처’일 수 있다는 거지.


반응형

 

근데 이게 진짜 가능할까? 문제는 없을까?


이 전략이 성공하면 미국 입장에선 이득이 많아. 돈 나갈 구멍을 줄이고, 수출도 늘어나니까.

하지만 문제도 커. 예를 들어:
✔️미국 국채의 신뢰도가 떨어지면, 투자자들이 “이건 믿고 맡길 수 없는 상품이네” 하면서 자금을 빼갈 수도 있어.
✔️달러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지금처럼 ‘기축통화’ 자리를 지키는 게 힘들어져.
✔️다른 나라들과의 외교 갈등도 커질 수 있어. 누가 좋아서 불리한 조건의 채권을 억지로 받아들이겠어?

결국, 이 전략이 실현된다면 지금까지 우리가 알던 글로벌 금융질서가 바뀔 수도 있다는 거야.



진짜로 중요한 건?


지금까지는 대부분 사람들이 관세 전쟁에만 집중했지만, 진짜 중요한 건 그 이면에 깔린 **‘달러의 미래’**야.

트럼프가 꺼내든 ‘마러라고 카드’는 무역 전쟁보다 더 크고, 더 무서운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어.



자세한 내용은⬇️
헤럴드경제, 관세폭탄보다 심각한 ‘마러라고 합의’<인위적 달러 약세 정책 추진> 실현 가능성 높다 [알리시아 가르시아 에레로] 2025.04.11
https://mbiz.heraldcorp.com/article/10463047
헤럴드경제, ‘안전자산’ 달러 휘청, 트럼프는 다 계획이 있다? [세모금] 2025.04.12
https://mbiz.heraldcorp.com/article/1046359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