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vs. 유럽연합, 그리고 중국까지 – 글로벌 무역의 판도가 바뀌고 있어요!


2000년부터 2024년까지, 전 세계 무역이 엄청나게 성장했어요. 미국과 유럽연합(EU) 모두 무역 규모가 쑥쑥 자라났는데요, 이 둘의 경쟁은 지금도 현재진행형입니다.

Visual Capitalist

🇺🇸🇪🇺미국과 EU, 누가 더 많이 사고팔았을까?


2000년, 미국의 총 상품 무역 규모(수출+수입)는 2조 400억 달러였어요. 그런데 2024년에는 5조 3,800억 달러! 무려 두 배 이상 늘어났죠.

EU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1조 7,700억 달러에서 5조 4,300억 달러로 훌쩍 뛰었어요. 성장률은 EU가 살짝 앞섰어요 (연평균 4.8%, 미국은 4.1%).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차이점이 하나 있어요.
✔️ EU는 수출을 많이 하는 나라(2.8조 달러)
✔️ 미국은 수입을 많이 하는 나라(3.3조 달러)

결과적으로, 미국은 무역 적자가 무려 1.2조 달러에 달한 반면, EU는 1,600억 달러의 무역 흑자를 기록했답니다.

또 하나 눈여겨볼 점!
EU는 무역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8%인데, 미국은 18.4%에 불과해요. 즉, EU는 무역 중심형 경제, 미국은 내수 중심형 경제라고 볼 수 있어요.



🤝그렇다면 세계 각국은 누구와 더 많이 거래하고 있을까?


2000년엔 EU가 세계 여러 나라들의 ‘주요 무역 파트너’였어요.

하지만 미국은 여전히 아메리카 대륙(남미 일부 제외), 아시아 주요국들(중국, 일본, 한국 등), 그리고 아프리카 일부 국가들과 깊은 무역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죠.

2024년엔 조금씩 판도가 바뀌었어요.
✔️ 칠레는 EU보다 미국과 더 가까워졌고,
✔️ 중국은 EU와 무역을 더 많이 하게 되었어요.
✔️ 앙골라, 가봉, 나이지리아 같은 아프리카 국가들도 EU 쪽으로 기울었고, 이제 아프리카 전체가 EU를 주 무역 파트너로 삼고 있답니다.
✔️ 중동에서는 요르단이 EU에서 미국으로 파트너를 변경했어요.

그래도 미국은 여전히 일본, 한국, 대만,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같은 수출 강국들과 굳건한 무역 관계를 유지 중이에요!

Visual Capitalist

🇨🇳그런데… 중국은요?


2000년만 해도 중국의 무역 규모는 미국의 1/4밖에 안 됐어요.
그런데 지금은?

2024년 기준:
✔️ 미국 총무역: 5.3조 달러
✔️ 중국 총무역: 6.2조 달러

네, 맞아요.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무역 1위 자리에 올라섰어요.
2000년부터 2024년까지 중국 무역은 무려 1,200% 성장했어요. (연평균 11.3% 성장!)

지금 중국은 아시아, 동유럽, 중동, 오세아니아, 남미,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의 최대 무역 파트너예요.
앞으로는 신흥국들과의 무역을 더 강화하면서 원자재·식량은 수입하고, 제조 제품은 수출하는 구조를 더 굳힐 것으로 보여요.



📍무역 지형의 변화는 계속된다!


요약하자면…
✔️ EU는 수출에 강하고, 무역으로 먹고 사는 구조
✔️ 미국은 수입이 많고, 내수가 중심인 구조
✔️ 중국은 폭풍 성장하며 세계 무역의 중심이 됐고,
✔️ 세계 각국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무역 파트너를 조금씩 바꾸고 있어요.

앞으로의 무역 지도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우리나라 입장에서도 무역 흐름을 잘 읽고,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게 점점 더 중요해질 것 같네요!



자세한 내용은⬇️
출처: Visual Capitalist, Visualizing Global Trade Dominance: U.S. vs. EU (2000-2024) 2025.04.14
Visual Capitalist, Global Trade Dominance: U.S. vs. China (2000 & 2024) 2024.02.17
https://www.census.gov/foreign-trade/data/index.html
https://english.customs.gov.cn

반응형

+ Recent posts